Top

CURRICULUM교육과정

학부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교육목적
일반적으로 타 대학에서는 건축ㆍ도시계획ㆍ농학계열로 편제되어 있으나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는 예술ㆍ디자인 계열 소속으로 설계(디자인) 중점 교육을 통한 환경디자인 전문가 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교육 프로그램의 성격은 조경설계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특성화되어있다. 전반적인 교과과정은 저학년에서는 디자인에 대한 전반적인 소양을 갖추고, 고학년에서는 각종 이론과 복잡한 문제를 다루는 설계 스튜디오 중심으로 학습할 수 있게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있다.
교과목 수
학과별 교과목 수
학과명 구분 전공기초 전공필수 전공선택 전공과목
환경조경
디자인학과
과목수 7 5 21 33
학점수 21 15 63 99
교육과정 편성
교육과정 편성표
순번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수번호 학점 시간 이수
학년
개설학기
이론 실기 실습 설계 1학기 2학기
1 전공기초

환경조경학의 이해

FD114

3 3       1   o
2 전공기초

드로잉

FD101

3 2 2     1 o o
3 전공기초

입체디자인

FD111

3 2 2     1 o o
4 전공기초

평면디자인

FD103

3 2 2     1 o o
5 전공기초

예술과 디자인의 이해

FD110

3 3       1 o o
6 전공기초

현대 미술사

FD109

3 3       1 o o
7 전공기초

디지털디자인

FD105

3 2 2     1 o o
8 전공필수

지형디자인

LA201

3 2 2     2   o
9 전공필수

단지계획 및 설계

LA311

3 2 2     3   o
10 전공필수

도시조경설계

LA312

3 2 2     3 o  
11 전공필수

프로젝트디자인

LA421

3 2 2     4 o  
12 전공필수

환경생태계획론

LA424

3 3       4   o
13 전공선택

공간구성형태론

LA202

3 3       2   o
14 전공선택

동양조경사

LA203

3 3       2   o
15 전공선택

서양조경사

LA204

3 3       2 o  
16 전공선택

조경계획학

LA205

3 3       2 o  
17 전공선택

조경기초디자인

LA206

3 2 2     2   o
18 전공선택

조경디자인랭귀지

LA207

3 2 2     2 o  
19 전공선택

조경배식학

LA208

3 3       2   o
20 전공선택

조경수목 및 관리학

LA209

3 3       2 o  
21 전공선택

컴퓨터조경디자인

LA210

3 2 2     2 o  
22 전공선택

도시공간디자인론

LA313

3 3       3   o
23 전공선택

여가관광지계획론

LA314

3 3       3 o  
24 전공선택

정원예술론

LA315

3 3       3 o  
25 전공선택

조경공학

LA316

3 3       3 o  
26 전공선택

조경시공 및 적산학

LA317

3 3       3   o
27 전공선택

환경인지설계론

LA319

3 3       3   o
28 전공선택

캡스톤디자인 기반 융합연구

LA325

3       3 3   o
29 전공선택

경관정보학

LA326

3 3       3 o  
30 전공선택

도시공원예술론

LA422

3 3       4   o
31 전공선택 교과논리 및 논술
(식물자원·조경)

EDU3186

3 3       3 o  
32 전공선택 교과교육론
(식물자원·조경)

EDU3184

3 3       3 o  
33 전공선택 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
(식물자원·조경)

EDU3185

3 3       3   o
타전공인정표
타전공인정표
순번 과목개설전공명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인정이수구분 개시연도 비고
1 건축학과 AR355 도시계획 3 전공선택   2학기 개설
2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ENV315 하천환경복원설계 3 전공선택   1학기 개설
3 4D아트 융합전공 FDA201 아트미디어탐구 3 전공선택 2019 2학기 개설
4 4D아트 융합전공 FDA202 자연과예술 3 전공선택 2019 1학기 개설
5 4D아트 융합전공 FDA301 4D아트설치 3 전공선택 2020 1학기 개설
6 4D아트 융합전공 FDA302 4D실행예술 3 전공선택 2020 2학기 개설
교과목 소개

교과교수법(식물자원·조경)(Teaching Method)

본 과정에서 디자인 행위에 대한 개념과 당위성을 논리적으로 정립하도록 하며 그것을 체계적인 문장과 언어로서 서술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In this process, the design concept and justification for the actions to establish a logical and structured sentences and language that can be described as is the ability to grow.

경관정보학(Landscape Informatics)

조경(경관)은 제4차 산업혁명에 의한 물리학적, 생태학적, 디지털적 기술발전이 적용되는 다학제적 산업으로서,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이에, 조경(경관)과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조경(경관)에서 활용 가능한 미래 디지털 기술(사물인터넷, 드론 등)과 이를 통해 생성되는 정보에 대해 조경(경관)정보학적 측면에서의 지식을 습득케 한다.
Landscape Architecture is a multidisciplinary industry in which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cological and digital technologies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pplied, a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future societ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acquires the knowledge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information from the future digital technology that can be used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it.

캡스톤디자인기반융합프로젝트 1(Capstone Design Based Interdisciplinary Landscape Project 1)

이 수업은 학부 세미나 수업으로서 현대조경작품에 대한 최신 이슈를 다룬다. 세미나 수업이니만큼 학생들의 활발한 참여가 요구되며, 이 수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이슈와 조경프로젝트의 관계에 대해 이해한다. 둘째, 학생들의 비판적인 사고력을 향상시킨다. 셋째, 동시대의 조경가의 역할은 무엇인가를 고찰한다.
This class is an undergraduate seminar class which deals with current issues of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al projects. Since it is a seminar style class,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s highly required.

환경조경학의 이해(Introduction to Landscape Architecture)

조경학의 일반적인 개념과 기초이론, 학문으로서의 중요성, 국내외의 조경정책, 조경학 교육의 실태파악과 미래의 잠재력 등 조경분야의 전 영역에 관계되는 기본적인 이론과 조경용어의 해설을 강의한다.
An introduction to the multidisciplinary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exploring its historical evolution, highlighting its interaction with arts and science, and examine tis contemporary leaders.

지형디자인(Land Form Design)

조경의 본질이 내재한 지형조성에 있어서 공학적이고 생태적인 측면에서의 접근뿐만 아니라, 지형을 3차원의 조형 대상으로 인식하여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형태의 지형으로 적절하게 창출할 수 있는 접근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제적으로는 다양한 지형을 조성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Students can learn how to design of landform with the consideration of techn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understand how to create functionally useful and esthetic forms of sites thought of as three-dimensional objects of landscaping. Students finally can develop the competence of making up various landforms.

캡스톤디자인기반융합프로젝트2(Interdisciplinary Project Based on Capstone-Design 2)

다양한 주제, 대상지, 접근방법에 대해 더욱 심화된 디자인 및 연구 능력을 배양한다.
Project Design enables to develop more deep practical ability through various subjects, sites and access methods.

도시조경설계(Urban Landscape Design)

가로, 광장, 공개공지, 보행자몰, 녹도, 수변공간, 이전 적지, 도심 재개발지역 등 도시를 구성하는 다양한 유형의 공간에 대한 설계능력을 배양한다.
A Sequence of projects introducing students to advanced skills in spatial design, and historic precedent in an urban context. Basic principles involved in design theory, interpretation, and methodology as they are applied to shaping the outdoor environment. Students are introduced to spatial design vocabularies for a variety of environmental scales and spatial types.

단지계획 및 설계(Site Planning and Design)

단지 계획 및 설계는 인간이 행동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주어진 프로그램을 특정 부지(site)의 물리적 환경에 조화롭게 배치하는 기술(arts)로써 조경, 건축, 토목, 도시계획의 경계영역에 속한다. 본 과목은 studio과목으로 설계 topic은 주거단지, 캠퍼스, 여가⋅관광단지 등으로 하며 시사성 있는 토픽이 추가 될 수 있으며, “여가관광지 계획론”이 선수과목으로 추천된다.
Site Planning and Design as arts that set a program for human at physical environment belongs to boundary-domain of Landscape Architecture, Architecture, Civil Engineering, Urban Planning. Lectures and studio projects focusing on issues of the day as well as housing site, campus site, leisure and tourism site. And they recommend "Leisure and Tourism Planning" as first lecture.

조경계획학(Theory of Landscape Planning)

조경대상지의 부지 특성 및 잠재력 등의 분석방법, 계획진행방법, 활동의 관련성, 토지의 효율적 이용 계획과정을 학습한다. 계획의 이론, 분방법론, 생태적 접근방법, 사회 문화적 접근방법 등을 논하고 각종 공원녹지, 레크레이션 시설지 등의 계획을 검토한다.
Study the method of analysis way of site characteristic and potential energy, plan progress method, relation of activity, efficient utilization land plan process of the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energy of a site. It studies the theory of plan, analysis methodology, ecological access method, and sociocultural access method and covers the plans of various park green areas and recreation equipment.

서양조경사(History of Occidental Landscape Architecture)

서양을 중심으로 하여 시대별, 지역별로 조경양식의 특성과 변천을 그 당시의 사회적, 문화적, 물리적인 환경측면에서 고찰하여, 작게는 앞으로의 작품 활동에 있어서 다양한 구상의 기틀을 마련하고 크게는 조경인으로서의 철학을 견지하게 한다. 특히 서양적인 조경문화의 정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동양 또는 우리나라의 것과 비교할 수 있는 안목을 키우게 한다.
In the occidental range, features and transitions of landscape architecture are introduced in the times and countries, which are also studied with the factors concerning temporal society, culture, and physical environment. Students can not only build variety of knowledge for planning each work of landscape but also learn and determine their own philosophy as a landscape architect. Especially, students can understand what occidental culture of landscape architecture is, and can finally compare it with that of the orient and Korea.

조경수목 및 관리학(Theory of Landscape Plants and Management)

조경식물의 형태, 특성, 식생조건, 및 문화적 요구 등을 중점으로 하여 식물소재에 관한 지식을 이해하고 식재설계에 있어서 식물이 지닌 미적, 생태적, 기능적 요인을 조경학의 측면에서 다룬다.
This course will focus on the establishment of woody and herbaceous plants in urban and garden settings. By understanding the special constraints placed on plants, we will be able to critically assess and modify potential planting sites, select appropriate trees, shrubs, and ground covers for a given site, and learn about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plant establishment both in the ground and in contained environments. Design followed by specifications and graphic details will be produced to implement these practices. Techniques for tree preservation and land reclamation/revegetation will also be discussed.

공간구성형태론(Space & Form Composition)

아름답고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한 Design 기초이론들을 실제의 공간구성 작업에 응용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습교육을 동하여 습득하고, 환경 Designer로서 공간을 다루는 법, 공간감 및 공간 구성기법을 배양케 한다.
A study on the method of spacial composition and to deal with space as a environment designer after acquiring basic theories to make environment beautiful and pleasant and to apply into spacial composition from theorical and practical education.

조경디자인랭귀지(Graphic Communication in Landscape Design)

조경계획 및 설계 작업을 위한 기초연습과정. 조경계획가 및 설계가의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아이디어를 기술적인 제도법과 세련된 일러스트 그래픽 기법 그리고 모형제작을 통하여 시각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는 기술을 습득한다.
Basic skills in graphic presentation, including pencil-and-ink drawing and drafting techniques applicable to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s. Freehand drawing, orthographic projection, axonometric projection, and lettering are covered in the course.

동양조경사(History of Oriental Landscape Architecture)

동양을 중심으로 하여 시대별, 지역별로 조경양식의 특성과 변천을 그 당시의 사회적, 문화적, 물리적인 환경측면에서 고찰하여, 작게는 앞으로의 작품 활동에 있어서 다양한 구상의 기틀을 마련하고 크게는 조경인으로서의 철학을 견지하게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전통조경을 파악하여 다른 나라와 차별되는 조경 문화의 보전과 현대적인 창출에 기여하게 한다.
Focusing on Korean cultures of landscape of the influential three countries - Korea, Japan, China. They learn the general common features of oriental landscape architecture, and its difference/uniqueness of each nation.

조경기초디자인(Introductory Landscape Design)

경관설계란 형태라는 매개물을 통하여 3차원적 공간속에 시각적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옥외환경 설계에 있어서 형태처리 수법을 터득함은 필수적이다. 본 과목에서는 설계자가 어떻게 설계의 목적, 주제, 개념을 가지고 출발하여 최종적으로 의미 있고 기능적인 형태를 이끌어 내는지에 대해 그 과정을 알아본다.
Basic design principles and processes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outdoor environment. Studio projects focus on the analysis, organization, and form of outdoor space through the use of three-dimensional components including structures, vegetation and earthform.

조경공학(Landscape Engineering)

조경구조물의 구조학적 특질 및 특징, 토목의 제반 이론을 근거로 한 조경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에 있어서 미적인 가치를 효율적으로 표현시키기 위한 과정을 학습한다.
Lectures and studio project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a working knowledge of site grading, earthwork, storm-water management, site irrigation, site layout, and road alignment.

컴퓨터조경디자인(Computer-Aided Landscape Design)

실내외 조경공간의 공간이미지 표현을 위하여 활용성이 높은 CAD, GIS 등의 응용분야에 관하여 익숙케 함으로써 컴퓨터를 이용한 조경설계의 이해를 돕도록 한다.
Study CAD, GIS so that understand landscape design using computer.

정원예술론(Garden Aesthetics and Design)

조경의 역사는 정원의 역사라는 말이 있듯이, 가장 개인적인 공간인 (private space) '정원‘ 설계를 ’고급 수준의 정원‘ 설계라는 의미로서 이해하기보다는 특정주제를 표방하는 상징 공간, 기념공간으로 확대해석해서 일반적인 개념의 정원 설계뿐만 아니라, 도시 내 소규모 상징 기념공간의 설계를 아울러 진행함으로써 ’정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As "Garden history is Landscape history" says, Garden design which is most private space needs to understand as symbolic, memorial space that publish specific subjects than to understand as meaning of high quality garden design. And design of memorial space in urban raises the understanding about Garden.

여가 관광지 계획론(Leisure and Tourism Planning)

소득 증가에 따른 여가⋅관광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현실에서 여가⋅관광지가 조경분야의 주요 market임이 예견된다. 본 과목은 여가 및 관광의 기본구조 및 특성을 파악하고, 이것을 토대로 여가⋅관광지의 각 유형별 계획방법론을 강의한다. 그 대상으로는 기본적으로 관광단지, 리조트, 골프장, 청소년 수련원, 자연휴양림 등으로 하며 시사성 있는 topic이 추가로 지정될 수 있다.
Understand basic construction of leisure and tourism, base on this lecture each planning method of leisure and tourism. Basically resort complex, resort, golf course, teenagers novitiate, nature rest and topics can be specified in addition.

조경배식학(Theory of Landscape Planting Design)

조경수목 및 지피식물, 화훼류 등을 이용하여 경관을 구성하는 방안을 미적, 기능적, 생태적 원리에 따라 설계하는 능력을 기른다.
An application of design and planning methods within large physiographic or political units. Course participants will be engaged in the use of soil maps, aerial photographs, remote-sensed images, census data, and techniques for manipulating large, complex data bases. The course focuses specifically on plant communities.

현대조경작품연구(Researches in Modern Landscape Design Works)

현대 조경의 대표적인 조경설계가들과 그들의 작품을 통하여 현대조경설계의 흐름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조경설계 경향을 예견해 보고자 한다.
Study out the Designers of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their works and foresee the tendency of future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도시공간디자인론(Theories of Urban Space Design)

도시공간의 구성원리 및 이론, 미학, 형태 및 배치에 관하여 고찰하고 이를 조경, 건축, 도시설계 분야에서 도시공간 설계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알아본다.
Application of urban-design and town-planning techniques to specific contemporary problems of city environments. Issues of urbanism are investigated and applied to physical design interventions and spatial typologies involving the street, square, block, garden, and park systems. Urban land-use development and public and private implementation of urban-design plans are examined.

조경시공 및 적산학(Landscape Construction)

미적이며 효율적인 공간조성을 위하여 조경공사의 이해를 높이고 외부공간의 조경수목과 조경 구조체, 벤치, 조명, 포장 등 조경시설물의 합리적인 시공방법을 터득시킨다. 조경재료 및 사례에서 습득한 지식을 실무에 응용하는 과정으로 각 단계의 비용을 산출할 수 있는 적산 능력을 배양한다.
Construction materials, specifications, cost estimates, and methods used by landscape architects in project implementation. The course includes lectures, studio problems, and development of construction documentation for a selected project.

도시공원예술론(Urban Parks Design)

도시의 기본요소이며 도시의 질을 좌우하는 각종 도시공원에 대한 설계기준과 설계방법을 익히기 위하여, 국내외의 도시공원 작품을 분석하여 작품의 특성을 파악하면서 설계의 감각을 익히고 직접 사례 연구하여 설계과정에 따른 조사 및 분석, 설계주제에 알맞은 아이디어 창출과 전개, 기본설계도 작서 등의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Students study theories of urban park planning an design. With these resources, they can understand the functions of urban parks and following effects to the concerning community. They also develop the critical judgement of existing problems. Students learn principles for shaping urban parks, and philosophies of the design through interactive and critical debates among the professor and students, and among students. Students finally acquire essential requirements as an urban landscape architect.

환경인지설계론(Theory of Environmental Cognition & Design)

환경심리학적 접근을 통하여 이용자가 보고, 느끼고, 사용하기 쉬운 장소로서의 공간을 만드는 디자인 이론을 습득케 한다.
Theory of environmental cognition & Design enables to acquire design theories that makes space for users to see, feel and use easily throughout environmental cognition access.

환경생태계획론(Environmental Ecology Planning)

환경오염이 없는 쾌적한 생활환경 창출을 위하여 기존의 환경계획 개념은 환경생태 계획 기법으로 전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과목은 자연생태계가 가지고 있는 다양성, 자립성, 안전성, 순환성이 유지되는 환경을 창출하기 위한 생태적 환경 계획론을 연구하도록 한다.
Landscape ecology as a basis for regional landscape planning. Regional landscape planning strategies and methods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employed in North America, Europe, Australia, and the Middle East. This course is intended to provide a base for understanding the utilization of landscape ecological knowledge in the planning process. It is presented through a series of lectures, readings, class discussions, exercises, and review of case studies. The course is directed to students in landscape architecture, architecture, city and regional planning. ecology, rural development, and natural resources.

조경실무연습(인턴쉽)(Professional Practice in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ship)

학교에서 배운 조경분야의 지식을 실제 현장에서 실무연습을 통하여 적용 및 응용할 기회를 갖는다.
Presents the student wit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the professional landscape architect and the problems and opportunities one may encounter in an office or other professional situations. Topics discussed include practice diversity, marketing professional services, office and project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computers in the profession, and ethics.

졸업논문(환경조경디자인학과)(Graduation Thesis)

한 주제에 대한 졸업논문을 작성한다.
Individual research or design projects are implemented as graduation requirements.

교과교육론(식물자원・조경)(Theoretical Development And Analysis Subject)

교과교육의 이론적, 역사적 배경, 교과교육의 목표 및 중・고등학교 새 교육과정의 분석 등 교과교육 전반에 관하여 연구한다.
The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ubject matters and the basic models of curriculumfor each discipline and foster the ability to select and organize desirable curriculum contents.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식물자원・조경)(Study of Unit Plans)

교과의 성격, 중・고등학교 교재의 분석, 수업안의 작성, 교수방법 등 교과지도의 실재경험을 쌓게 한다.
Learners in the course are able to promote the basic competency as curriculum expert to guide their students in each subject matter andutilize appropriate teaching method in relation to the age and developmental level of the students, the subject-matter contents, the objective of the lesson, and evaluation method.

교과논리 및 논술(식물자원・조경)(Curriculum logical and essays)

본 과정에서 디자인 행위에 대한 개념과 당위성을 논리적으로 정립하도록 하며 그것을 체계적인 문장과 언어로서 서술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In this process, the design concept and justification for the actions to establish a logical and structured sentences and language that can be described as is the ability to grow.